티스토리 뷰
목차
집중호우, 태풍, 산사태등..생각지도 못한 농가피해에 당면시 피해사실확인서부터 재정지원까지...막막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. 지금 당장 읍·면·동사무소와 농협 지점으로 절차를 시작하세요. 신속하고 꼼꼼한 대응이 농가 복구의 첫 걸음입니다. 이 글이 안정과 회복의 여정에 작게나마 힘이 되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!
1. 피해사실확인서 반드시 챙기자
피해사실확인서
농가가 자연재해로 입은 피해를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문서로서 재해대책비, 경영자금 대출, 금융 지원 등 대부분의 행정·금융 절차에 필수입니다.
절차 간단 정리
- 피해 신고: (시장·군수·구청장 → 읍·면·동장)에게 재해 발생 후 10일 이내 반드시 신고해야한다. 신고하지 않으면 지원을 받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(신고주의 원칙)
- 현장 확인 및 확인서 발급: 공무원 현장 확인 후 작성. NDMS에 피해가 이미 신고된 경우, 현장 확인 없이 신속 발급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.
2. 2025년 재해농가 최신 지원 트렌드
농협 맞춤형 금융 지원 강화
- NH농협금융은 “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신속한 손해 조사 및 금융 지원을 실시하겠다”고 밝혔습니다.
→ 특히 이자 납입 유예, 긴급 경영자금, 복구 자금 등을 포함하여 실질적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강조 중입니다
중앙정부 + 지자체 다층적 지원
- 2025년 농식품부 예산안(약 18.7조 원) 중:
- 재해복구지원에 1,600억 원
- 재해 예방 생산기반 투자에 1조 2,469억 원 편성
- 또한, **소규모 농가 경영안정 지원사업(제주 지역 등 특정 지자체 대상)**에서는 농기자재 구입비 최대 20만 원 지원하는 등 보조 프로그램들도 운영 중입니다. (예: 제주시, 서귀포시 대상)
- 소비·민생지원금도 놓치지 마세요! 농촌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할 경우,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5만 원 추가 지급 혜택이 있습니다. 기본 소비쿠폰 포함 최대 10만 원까지 혜택 가능!
3. 2025년 자연재해 농가 복구 5단계 매뉴얼
1 | 즉시 피해 신고 (10일 이내) | NDMS 입력 여부 확인 후 지연 없이 신고! |
2 | 피해사실확인서 발급 | 읍·면·동 방문 및 서식 활용. NDMS 신고 시 간소화 가능 |
3 | 지원사업 총정리 | 재해복구비, 경영안정 자금, 스마트 농기자재 구매 등 모두 확인 |
4 | 농협 금융 지원 신청 | 이자 유예, 긴급 대출, 복구 지원 문의 후 조치 |
5 | 지자체·정부 정책 추가 활용 | 청년농·소농 경영안정, 소비쿠폰, 맞춤형 스마트팜 등 |